React Project Structure
React Project Structure v2023
지난 2017년의 React 프로젝트의 디렉토리 구조 이후로 6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 사이 변화한 생각들을 비교하며 적어본다.
React Hooks
2019년, 훅이 등장했고 리액트 프로젝트는 서서히 격변을 맞이하게 되었다. 더이상 컴포넌트는 클래스가 아니어도 상태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Container - Presentatinal 컴포넌트 패턴은 무의미해졌다.
또, 전체 앱의 상태를 한번에 관리하던 리덕스는 관리하기엔 너무 무겁고 커다란 레거시 덩어리가 되어갔다. 앱의 전역적인 상태는 Recoil, Jotai 같은 간단한 Atomic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트렌드가 되었고, thunk, saga와 같은 비동기 처리는 react-query, SWR 같은 라이브러리가 대체하기 시작했다.
리덕스가 지배하던 세상에서는 리덕스를 어떻게 잘 나누어 관리하냐가 프로젝트의 디렉토리 구조를 관리하는 핵심이었다. 그렇다면 이제는 어떤 관점에서 디렉토리 구조를 잡아야 할까?
Atomic Design
이야기에 들어가기 앞서, 아토믹 디자인 패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이전 글에서도 아토믹 디자인 패턴을 차용해 디렉토리 구조를 잡았었기 때문이지만, 최근 채용을 진행하면서 사전 과제를 진행하면, 많은 주니어 개발자 분들이 아토믹 디자인 패턴에 매료되어 그 방향을 좇아간 과제를 제출해주시기 때문이다. 그런 분들에게는 항상 "아토믹 디자인 패턴의 단점은 뭔가요?" 라고 질문해본다.
아토믹 디자인 패턴의 단점
Atom
이라는 단위는 꽤 간단하다.
보통은 기본 html을 대신해 사용할, 디자인을 입힌 컴포넌트를 의미한다. 이 컴포넌트는 범용적으로 재사용성을 높여야 하는 목적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단점이 있다.
- 컴포넌트가 스스로 위치를 잡지 않는다.
- 따라서 아톰 컴포넌트를 사용할 곳에서는 컴포넌트의 위치를 잡아줄 Wrapper 가 거의 항상 필요하다.
- 컴포넌트가 굉장히 다양한 props를 받게 된다.
- 컴포넌트가 갖는 props의 종류가 많아질 수록, 컴포넌트 내부 구현의 분기는 더욱 복잡해진다.
- 직접적인 기능을 갖지 않는다.
- 웬만해선 controlled 컴포넌트로 만들기 때문에 컴포넌트가 상태를 갖지 않는다.
- 따라서 상태와 이벤트 리스너를 부모로부터 props로 받아야 한다.
- 부모 컴포넌트는 모든 일들을 관리하기 위해 복잡해지고, 렌더링 로직은 한층 더 길어진다.
- 웬만해선 controlled 컴포넌트로 만들기 때문에 컴포넌트가 상태를 갖지 않는다.
Molecule
부터는 머리가 아프다.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Molecule인지,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Organism인지, 모호하고 희미하다. 그렇다고 Molecule 같은 중간 단위를 안 쓰자니, Page > Atom 의 단순한 구조에서, 위의 Atom의 단점이 굉장히 두드러진다. Page가 모든 책임을, 상태를, 기능과 레이아웃을 전부 관리하게 된다. 코드를 읽는 데 IDE의 바로가기 기능에 감사하게 된다.
게다가 가장 큰 단점은: 대형 프로젝트가 되면 될 수록 재사용되는 Molecule이 점점 사라진다. 거의 같아 보이지만 조금씩 제약조건이 다르고 기능이 다르면 props를 추가해 분기를 태워야 하는데, 이 경우 Molecule이 위에서 언급한 Atom의 단점을 그대로 가져가게 된다.
대안
Page > Section
각 기능별로 Section을 나누고, Section은 그 안에 필요한 컴포넌트를 관리한다.
이렇게 되면 useEffect()
나 useRecoilState()
같은 훅은 섹션 내에서만 관리할 수 있다.
import Layout from "@pages/Layout"
import AboutMe from "./sections/AboutMe"
import History from "./sections/History"
import Intro from "./sections/Intro"
export default function Main() {
return (
<Layout>
<Intro />
<AboutMe />
<History />
</Layout>
)
}
만약 레이아웃이 이렇게 단순한 컬럼 구조가 아니라면, Compound Component 형식을 사용해 이런 식으로 구현하는 것도 좋다.
export default function PageWithSidebar() {
return (
<Layout>
<Layout.Sidebar>
<Filter />
</Layout.Sidebar>
<Layout.Body>
<HeadingSection />
<TableSection />
</Layout.Body>
</Layout>
)
}
아, 물론 페이지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해야 한다면, 페이지에 로직이 들어가는 것을 피할 필요는 없다.
Atom -> Components
Atom에 해당하는 기본 컴포넌트만 components 폴더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Molecule / Organism Sections > Components
어떤 섹션에서만 사용되는 컴포넌트가 존재한다면 section > components 폴더에서 관리하도록 한다. 보통 이 컴포넌트는 해당 페이지에서만 필요한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거나, 독특한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이 컴포넌트가 다른 페이지나 섹션에서 재사용될 일이 없다고 생각된다면 컴포넌트가 자체적으로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컴포넌트가 자체적으로 기능을 가지면, 해당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페이지나 섹션에서는 해당 컴포넌트의 상태를 관리할 필요가 없다. 그러니까 기본적인 onClick, 라우팅, 모달 등의 동작은 컴포넌트가 가져가도 문제가 없다.
때로는 이 컴포넌트는 공통 컴포넌트를 Wrapping 하여 디자인은 공통 컴포넌트를 따르지만, 기능은 독자적으로 가져가기도 한다.
물론, 파일이 길어진다 싶으면 커스텀 훅으로 로직을 분리하기도 하는데 이 훅은 사용되는 컴포넌트 바로 옆에 둔다.
여기까지를 요약하자면
Redux Data Hooks
데이터 훅은 사실 크게 생각할 거리가 별로 없다. 리덕스에서 액션과 리듀서와 사가를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고민했던 것이 굉장히 무색하게도 말이다.
도메인 별로 API, Model, Hook, 그리고 필요하다면 Atom 정도만 구분해서 폴더 단위로 관리하고 있다.
결론 및 하고싶은 말
많은 주니어 개발자 분들이 컴포넌트나 커스텀 훅의 분리 시 "재사용성"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을 때가 많다. 하지만 대형 프로젝트로 가면 갈 수록 재사용성보다 "가독성"을 위해 파일을 분리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진다. 그리고 코드의 중복 제거보다 가독성이 훨씬 훨씬 중요하다!
아토믹 디자인 역시 재사용성에만 초점을 맞춘 컴포넌트 패턴이므로, 아토믹 디자인 패턴만 사용한다면 많은 props와 onChange 같은 이벤트 핸들러로 코드가 더러워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최대한 한 컴포넌트 파일을 150줄 이내로 유지하려고 노력해보자. 재사용성이 아니라 가독성을 위해 컴포넌트를 분리해보고, 커스텀 훅을 만들어보자. 다른 사람이 코드를 읽을 때, 함수의 이름만 보고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추측하고 스크롤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해보자.
그렇게 된다면 당신도 합격!